네이처링

공주대학교 교내 숲의 식물상 조사 및 초본상 군락 복원 모니터링(K-BON 주니어 9기)

참여자 3
관찰기록 20
생물분류 관속식물 관속식물
  • 개설자
    김성동
       ehdehdrns5@gmail.com
  • 개설일 2024년 5월 13일
  • 미션기간 2024년 5월 7일 오전 10시부터
  • 미션지역 충남 공주시 신관동
  • 관련링크
  • 공주대학교 교내 운동공원과 사범대학 건물 뒤 숲 간 식물상을 조사하고, 운동공원 내 출입 제한 구역의 초본상 군락 복원 과정을 모니터링 한다. 조사방법 조사지 1과 2의 식물상 조사를 위해 - 교목의 경우 10m x 10m(100m2) 크기의 방형구 4개 - 관목의 경우 4m x 4m(16m2) 크기의 방형구 10개 - 초본의 경우 1m x 1m(1m2) 크기의 방형구 20개를 설치 - 교목층의 경우 빈도, 피도, 종명, 출현 종 수, 종 당 개체 수 - 관목층은 빈도, 피도, 종명, 출현 종 수, 종 당 개체 수 - 초본층은 빈도, 종명, 출현 종 수, 종 당 개체 수 - 층위별 종간 생태적 지위, 세력 및 우점종 분석을 위해 상대우점치를 산출한다 - 단위 지역 간 종구성의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해 Sørensen 계수를 이용하며, 군락 내 종의 균일성, 다양성을 파악을 위해 종다양성지수(Shannon-Wiener지수)를 분석한다. - 각 방형구별 빈도는 개/개, 밀도는 개/m2의 단위를 사용하고 교목층의 피도(C)는 다음 식 을 이용해 그 값을 구한다. 이후 빈도, 밀도, 피도 값을 각각 모두 더한 후 각 수치의 상댓값을 산출한다. 조사기간 (5월~10월말) - 관목층과 교목층의 경우 조사 초기에 1회만 조사 - 조사지 1과 2 초본층의 경우 8주 간격으로 식물상 변화 유무를 모니터링 - 조사지 1 내 출입 제한 구역의 경우 4주 간격으로 초본상 군락 복원 양상을 모니터링

생물분류

서식지유형

행정구역

게시자

관찰시각

시작일
종료일

게시시각

시작일
종료일

관찰 생물종0 관찰기록0

미션토크

사진
파일
@ |

최다 관찰자

네이처링을 앱으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