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여자
3
관찰기록
166
생물분류
조류

- 개설자 이현민(민진찬) zzz5887@khu.ac.kr
- 개설일 2025년 4월 19일
- 미션기간 2025년 4월 1일 오전 12시 - 2025년 11월 30일 오후 11시
- 미션지역 서울 노원구 상계동
- 관련링크
-
<중랑천 상류에 서식하는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의 번식 생태 모니터링(K-BON 주니어 10기)> 1. 팀명 - 민진찬 2. 팀원 (1) 경희대학교 3학년 이현민 (2) 경희대학교 4학년 심희진 (3) 경희대학교 4학년 박예찬 3. 모니터링 대상 (1)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흰목물떼새' (2) 서울시 보호 야생생물 '꼬마물떼새' 4. 모니터링 목적 (1) 중랑천 내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의 보전을 위해 그들의 기초적인 번식 생태를 파악한다. (2)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의 번식 시기 및 이주 시기, 그리고 두 종간의 둥지 분포를 파악한다. (3)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의 서식지 보전을 위한 환경요인들을 파악한다. 5. 모니터링 지역 - 중랑천 호암교에서 월릉교까지 (전수조사를 3회 이상 진행한 뒤 대상종의 서식이 파악되지 않는 구간은 조사 구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6. 모니터링 기간 (1) 2025년 4월 1일(화)부터 2025년 11월 30일(일)까지 (2) 4월~7월: 1주 1회 조사 (이때 조사 주기는 최대 10일을 넘지 않는다) (3) 8월~11월: 2주 1회 조사 (이때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의 개체수 변이가 심할 시 조사 횟수를 늘린다) 7. 모니터링 방법 (1) 중랑천 호암교에서 월릉교 사이의 대상종을 전수조사한다. (이동수단으로는 자전거와 도보를 이용한다) (2) 필드 스코프, 쌍안경, 카메라, 육안, 소리를 활용하여 사주마다 정점조사를 진행한다. (3) 대상종이 식별되면 대상종의 위치를 네이처링에 기록한다. (4) 대상종이 식별된 이후 15분 동안 대상종을 관찰하여 산란 및 포란 유무를 파악한다. (이때 암수 교대 행위, 알 굴리기, 의상 행동, 알 등이 관찰된 경우 둥지로 판단한다) (5) 대상종의 둥지가 파악되면 GPS 어플과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둥지의 좌표를 얻은 뒤, 네이처링에 둥지의 위치를 정확하게 기록한다. (6) 대상종의 서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인(날씨, 강수량, 포식자, 공사 등)들을 야장에 기록한다.
생물분류
서식지유형
행정구역
관찰시각
시작일
종료일
게시시각
시작일
종료일
관찰 생물종9 관찰기록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