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자
1
관찰기록
99
생물분류
관속식물

- 개설자 김민지
- 개설일 2025년 4월 20일
- 미션기간 2025년 4월 18일 오후 12시부터
- 미션지역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 관련링크
-
모니터링 주제: 연세대학교와 안산의 식물상 모니터링 목적: 1) 연세대학교 식물 지도 제작 연세대학교 식물상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교내 식물 지도를 작성하고자 하고, 추후 모니터링 종료 시 학교 측과의 소통을 통해 배포하고자 합니다. 교내에 자생종은 거의 존재하지 않기에 식재종을 위주로 조사할 것입니다. 2) 안산 식물 분포 조사 안산 식물상은 최대한 전수 조사, 식재종을 배제한 자생종 위주로 조사하고자 합니다. 선행연구로 안산(서울)의 식물상(문영태 & 송지희, 2015)과 안산(서울특별시)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 포스터 발표본(김현진 외, 2018)을 참고하여 중점적으로 조사할 식물종 24종을 선정하였습니다. 모니터링 지역 1)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교내 교양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교내 식물 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목표이기에, 산보다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의 식재종(개량원예종 등)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2) 안산 안산은 식재종을 배제한 자생종 19종과 생태계교란생물(식물) 5종을 위주로 조사하는 것이 목표이기에, 자락길 이외의 등산로로 다니고자 합니다. 모니터링 시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림공간정보서비스에서 등산로 및 임상도를 참고하고자 합니다. 모니터링 대상: 식물(관속식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할 식물종 총 24종을 선정하였습니다. 이후 모니터링을 진행하면서 자주 보이는 식물종이나 특징적인 식물종 등을 추가하여 목록을 수정하고자 합니다. 모니터링 횟수 및 기간 2025년 4월- 11월, 안산 등산 월 1회 4-5시간 진행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는 평소에 기숙사에서 연구실 갈 때, 수업 들으러 갈 때, 도보로 이동하기 때문에 평소에 이동하면서 기록하고자 합니다. 모니터링 방법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내 식물종은 식재종으로 판단하고, 기록할 식물만 선별하여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고, 네이처링에 기록합니다. 안산 자생종은 선행연구에 보고된 이들이 안산에 살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고, 네이처링에 GPS 정보와 식생 정보 등을 기록합니다. 필요시에만 채집하고, 발견한 자리에서 동정하거나 사진으로 동정하는 것을 위주로 합니다. 안산 생태계교란생물(식물)은 위에서 목표로 한 5종이 있는 등산로와 등산로 주변 포인트 약 3곳을 최초 탐사 시 지정하고, 방문 시마다 이 장소에서 point intercept technique 혹은 point-line intercept technique을 사용하여 5종의 식물 군집의 분포를 추적 관찰하고자 합니다. 여러 방법들 중에서도 Step-point method 혹은 선을 직접 제작하여 조사하고자 합니다.
생물분류
서식지유형
행정구역
관찰시각
시작일
종료일
게시시각
시작일
종료일
관찰 생물종93 관찰기록99
© CARTO
미션토크
-
2025년 7월 19일 오전 12:00
-
2025년 7월 20일 오후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