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반딧불이 모니터링
생물분류
서식지유형
행정구역
관찰시각
게시시각
관찰 생물종4 관찰기록194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39 - 1(빛간섭이 있는 중에도 상부 그늘지고 안정된 지역 나무 아래(노래기가 근접해 있어 우려스러운 공간) 영롱한 빛을 자랑하는 암컷 한 마리 조사 됨)

경기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52 - 늦반딧불이 1(방치된 묵논습지로 버드나무 숲이 되어가는 상황이나 빛간섭등 전혀 없고 우수한 환경이지만 늦반딧불이의 개체 감소가 심각한 상황임)

경기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46 - 늦반딧불이 1(상부 고속화도로 빛간섭이 있으나 민가는 철수된 상태이고 경작도 포기하였으므로 비교적 청정한 환경이나 개체 감소가 우려스러움)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파파리반딧불이 2(수컷)
전반적으로 가뭄현상이 심하며,
코로나 확산으로 잠시 소등되었다가 다시 밝혀져 빛간섭도 크며 ,
37 상부에 조성된 유아숲체험장(빛간섭 없음) 주변에서 조사됨.
경기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파파리반딧불이 성체 수컷 3
야간 조명이 너무 밝아 번식 등 서식 환경에 크게 영향 미치며 어두운 쪽에서 조사 되었으나
반딧불이 번식기 때 그 시간(파파리 밤 12시 이후, 늦반딧불이 21시 이전)은 소등할 것이 요구되며 간곡히 요청드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파파리반딧불이 성체 1(수컷)
서식환경 우수한 곳이나
가뭄현상 심하여 무논습지에 버드나무 군락이 밀도 높게 형성되었으며
근접한 곳에 소쩍새 청음 함께 조사됨.

경기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가뭄현상이 심하고,
경작지 웅덩이가 모두 말라 개방수면이 전무하며
주변은 제초제 살포 흔적이 있고
배밭 진입로 양봉농지에 장애물이 놓여있으며
목줄을 매지 않은 개가 두 세 마리 서성거려 접근이 불가하였으나 경작지 아래 계곡부 옆 숲에서 파파리반딧불이 성체 2개체 조사됨.

경기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파파리반딧불이 성체 5
가뭄현상으로 계곡하천의 수량 극감되어 웅덩이 형태로 소량 개방수면 상태여서 물흐르는 소리를 들을 수 없음.
사찰 주변이나 좌측 등산로 주변은 조사되지 않았으나 이후(몇일 후) 경내 뜰에서 1개체 조사됨.

경기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2차 조사로 첫 방문 때는 조사되지 않았고
상대원터널쪽은 빛간섭이 있기 때문인지
여전히 조사되지 않았으며
가뭄현상으로 계곡하천도 바닥이 다 드러났으며, 그 아래 빛간섭이 없는 지역에서 23:30시에 성체 한 마리 조사됨.

경기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파파리반딧불이 성체 1
가뭄현상이 심하여 습지의 기능이 실종되었으며
백당나무와 붓꽃도 개화 후 결실기에 접어들었고
소쩍새, 쏙독새, 호랑지빠귀 청음과 고라니도 목견됨.
상부 습지 외 계곡하천 등도 가뭄현상 심하며 중간 습지 등에서는 조사되지 않음.

경기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파파리반딧불이성체 5
빛간섭이나 농약살포 등 없는 우수한 환경이나
가뭄현상이 심하여 습지를 찾아볼 수 없으며
발밑에 모래 자갈 부딛히는 소리로 사각거리며
거미에게 포획당한 개체 포함 5개체 조사됨.
경기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파파리반딧불이 성체 2(수컷)
경작지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고, 영생사업소 주차장 등 빛간섭과 가뭄현상이 장기화 되면서 주변 서식 환경이 위협받음. 주차장쪽에서 하부 개간된 경작지까지 경작용 도구 등을 실어나르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짚라인을 설치한 것으로 보아 더 개간될 가능성이 있어보여 우려됨.

경기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파파리반딧불이 성체 1(수컷)
방치된 경작지 상부 산림쪽에서 날기 시작.
계곡하천에 불필요한 사방공사로 인하여 산란장소 등 서식 환경 회손되었으나 매 해 암컷을 포함한 다수의 개체가 조사었던 곳으로 지속적인 조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체 감소가 현저하며 가뭄현상도 매우 심각하여 경작도 포기함.

경기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계곡하천 주변 경작지 등으로 우수한 서식 환경었으나 사방공사로 인하여 이끼 등 산란처가 콘크리트로 덮였으며, 두 해 째 경작지도 방치되었으나 늦반딧불이의 개체가 현저히 줄어 재방문을 통해 조사됨.